|
아이들이 액(厄)자를 연에 써 해질 무렵 줄을 끊어 날려 보낸다. 연을 만드는 법은
대를 깎아서 뼈를 만들고 종이에 풀칠을 하여 마치 키의 형상과 같다.
연에는 오색연, 기반연, 묘안연, 작령연, 어린연, 용미연, 등등으로 그 명색이 더욱
번잡하다.
중국의 연놀이는 늦은 봄의 놀이인데 우리는 겨울부터 정월보름날까지 연을 날린다.
연날리는 것이 한 곳에 국한되지 않고 종횡으로 가고 오며 남의 연과 마찰시켜 연줄을
많이 끊어서 쾌락을 맛보기도 한다. 연줄은 겹실이며 여기에 아교를 매끈하게 칠하여
마치 흰 말의 꼬리와 같다. 혹은 황색 치자 물을 매겨서 이것을 바람에 띄우면 쨍쨍하고
울리는 줄이라야 남의 연줄을 잘 자른다. 심한 자는 자석의 가루 또는 구리 등 쇠가루를
풀칠하여 바른다. 그러나 연줄을 끊기 위하여는 연줄을 잘 교차시키는 능력 여하에 따라
승부가 난다.
장안에서 연싸움을 잘하여 이름난 자는 때때로 존귀한 집에 불려가는 수가 있다. 매해
정월 보름 전 하루나 이틀은 수표교의 연변에서 연싸움을 구경하는 사람들이 담을 쌓는
듯 모인다. 연싸움으로 연줄이 끊기면 그 연을 잡으려고 담을 넘고 집까지도 뛰어 넘기도
하므로 뭇사람은 놀래서 두려워 한다.
그러나 정월 15일이 지나면 다시는 연을 날리지 않는 것이다. 아이들은 명주실로 거위의
탈을 실로 매고 이것을 바람에 따라서 날리는데 이 놀이를 고고매(苦苦妹) 놀이라고
한다. 몽고 말로 봉황(鳳凰)을 고고매라고 한다.
혜풍(惠風) 유득공(柳得恭)
편 이조 정종시인 (李朝 正宗時人) 卷之二
|
|